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941
- 시프
- Zero That Out
- 바샤
- 균형잡힌 세상
- 1874
- For Beginners
- process control
- LJESNJAK
- c++
- QA
- 4949
- 시스템 프로그래밍
- 전자책
- 브런치
- Parenthesis
- File 조작
- Process Communication
- 10773
- system programming
- 입력 버퍼
- BAKA
- 해바
- file IO
- The Balance of the World
- IT
- c
- Baekjoon
- 백준
- 5622
- Today
- Total
목록IT (2)
해바
앞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QA 프로세스가 진행된다고 얘기했었다. QA Plan > Entry Criteria > QA Start > Test Execute > Exit Criteria > QA Sign off * Test Execute: Testing > Bug Report > Issue Tracking 이 중 앞서 다루지 않았던 Test Execute(테스트 수행)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다뤄보려 한다. 개괄적인 시각에서 테스트는 테스트를 하고, 버그(결함)를 찾아, 유관 부서에 이슈를 공유하고 수정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이때 테스팅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적용할 수 있는데, F/E QA 프로젝트에 TE로 참여했을 때 여러 회사들에게서 대체로 Sanity Test ..
자격증은 필수일까? 이전에 소프트 스킬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하드 스킬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하드 스킬은 소프트 스킬과 달리 능력의 정도를 가시화하기가 쉽다. 그중 자격증은 능력을 가시화하기 좋은 대표적인 예이다. 몇 가지 QA 자격증이 있지만 이번 주제에서는 ISTQB-CTFL을 기준으로 다뤄보겠다. QA에 입문했다면 아마 ISTQB라는 자격증을 들어봤을 것이다. 회사에서 권유하거나 지원해주기도 하고, 채용 공고에서 우대 사항에 심심찮게 등장하며, 간혹 필수로 요구하는 곳도 있기에 관심이 없더라도 한 번쯤 알아보게 되는 자격증이다. ISTQB의 경우 예전에는 영어로만 시험을 볼 수 있었지만 비교적 최근에는 한국어로도 응시가 가능하여, ‘그럼 한번 볼까?’ 하고 홈페이지에 들어갔다가 금액을 보고 ..